코인

[BASE 체인의 유동성 허브, 에어로드롬 파이낸스(AERO)] 벨로덤 모델을 계승한 veToken 기반 DEX 인프라

CashPilot 2025. 5. 22. 15:32

에어로드롬 파이낸스(Aerodrome Finance, AERO) 개요

  • 토큰명: AERO
  • 기반 체인: BASE Network
  • 주요 특징
    • veToken 모델 기반 DEX 플랫폼으로, 벨로덤(Velodrome)의 구조를 확장해 설계
    • 유동성 제공자, 투표자, 트레이더 간 역할을 명확히 분리한 보상 중심 구조
    • BASE 체인의 대표 AMM으로 성장 중이며, 토큰 보유자는 투표와 인센티브 구조 설계에 참여

에어로드롬 파이낸스의 비전과 구조

Aerodrome은 오픈소스 기반 디파이 모델인 **벨로덤(Velodrome)**의 구조를 그대로 계승하면서, BASE 체인 위에 최적화된 유동성 허브로 등장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 없이 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AMM 기반 DEX이며, 자체 인센티브 모델을 통해 유동성과 토큰 수요를 동시에 확보하고자 합니다.

특히 AERO는 단순 유동성 보상이 아니라, **투표 기반 보상 설계(veToken 시스템)**를 통해 프로토콜 참여를 장려하는 구조입니다.


에어로드롬의 핵심 기술 및 구조

  1. veToken 모델 기반 거버넌스
    AERO 토큰은 veAERO 형태로 락업하여 보팅 파워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보유자는 어떤 유동성 풀에 인센티브를 분배할지 투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성 풀 제공자에게 더 많은 보상이 돌아갑니다.
    이는 유저가 보상의 흐름을 결정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2. 유동성 공급자(LP) 보상 설계
    유동성 풀에 자산을 예치한 사용자는 거래 수수료와 AERO 인센티브를 보상받습니다.
    풀에 따라 보상률이 상이하며, 투표 결과에 따라 특정 풀에 보상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트레이더 중심 AMM 플랫폼
    기본 구조는 Uniswap V2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일반 스왑 기능과 저슬리피지 환경을 제공합니다.
    스테이블코인 간 스왑, LP 제공, 리퀴디티 전략 등이 모두 온체인에서 처리됩니다.
  4. BASE 체인 최적화
    Aerodrome은 Coinbase가 후원하는 L2 체인인 BASE 위에서 운영되며,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 덕분에 사용자 경험이 우수합니다.
    BASE 생태계의 중심 유동성 인프라로 자리 잡으며 실사용 기반을 넓히고 있습니다.

AERO 토큰 투자 전략 포인트

  1. 벨로덤 포크 구조의 검증된 모델
    Aerodrome은 벨로덤의 veToken 기반 구조를 그대로 이어받아, 보상 유인 구조의 안정성과 성과가 검증된 모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단기 유동성만 유치하는 기존 DEX들과 차별화된 지속가능성을 갖습니다.
  2. 투표 기반 유동성 인센티브 설계
    AERO는 단순 보유가 아닌, 투표 참여를 통해 풀 인센티브를 설계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이는 DAO 운영과 토큰 보유 참여율을 모두 높이며, 장기 보유 유인을 제공합니다.
  3. BASE 생태계의 유동성 관문
    BASE 체인은 L2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Aerodrome은 그 중심에서 거래량과 TVL을 견인 중인 대표 프로젝트입니다.
    L2 확산 트렌드와 함께 AERO의 사용성과 유동성 규모도 함께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인센티브 경쟁과 주기적 리베이스
    주 단위 보상 분배와 풀 리베이스 구조는 AERO의 지속적인 수요 유입과 전략적 보유 구조를 만들며, 단기 매매보다는 유동성 운영과 연계한 전략적 투자를 유도합니다.

결론

에어로드롬 파이낸스(AERO)는 단순 스왑 플랫폼이 아닌, 투표 기반 유동성 설계 시스템을 갖춘 DEX 인프라입니다.
벨로덤의 veToken 모델을 계승하면서 BASE 체인에 특화된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유동성 제공자, 투표자, 트레이더 간 역할 구분을 통해 건강한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L2 생태계 확장과 함께, Aerodrome은 지속가능한 보상 설계와 DAO 중심 디파이 운영이라는 두 방향에서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