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게임파이 열풍의 원조, 엑시인피니티(AXS)] NFT 기반 전투·수익 모델을 구축한 Web3 게임 생태계
CashPilot
2025. 5. 22. 10:07

엑시인피니티(Axie Infinity, AXS) 개요
- 토큰명: AXS
- 기반 체인: Ronin Network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 주요 특징
- NFT 캐릭터 ‘엑시(Axie)’를 활용한 전략형 P2E 게임
- AXS 토큰은 게임 거버넌스 및 스테이킹, 브리딩 등에 사용
- 자체 론인(Ronin) 체인 위에서 트랜잭션 수수료를 최소화한 독립 생태계 운영
엑시인피니티 프로젝트의 시작과 구조
엑시인피니티는 베트남 기반의 Sky Mavis가 개발한 NFT 기반 플레이투언(P2E) 게임 플랫폼입니다.
유저는 NFT 캐릭터인 ‘엑시’를 수집, 육성, 배틀에 참여시켜 보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 보상은 AXS 및 SLP(게임 내 토큰)로 지급되어 실질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형성합니다.
2021년 디파이와 NFT 열풍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Web3 게임의 대표 사례이자 NFT 유틸리티의 선도적 모델로 자리잡았습니다.
엑시인피니티의 기술 구조와 생태계
- Ronin Network 기반 독립 체인 운영
초기에는 이더리움 메인넷을 사용했지만,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사이드체인 ‘Ronin’ 위로 이전했습니다.
이는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로 대규모 게이머 유입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 NFT 기반 엑시(Axie) 시스템
각 엑시는 고유한 NFT로 발행되며, 스탯과 외형, 스킬이 모두 다릅니다.
유저는 엑시를 **브리딩(교배)**하거나 마켓에서 거래하며, 게임 전략과 자산 투자를 동시에 설계할 수 있습니다. - 게임 내 경제 구조: AXS와 SLP
- AXS: 거버넌스, 스테이킹, 브리딩 수수료 등 주요 생태계 기능에 사용
- SLP: 전투 플레이로 획득되는 보상 토큰, 주로 브리딩 비용에 사용
이 구조는 실제 경제 시스템과 유사한 디지털 자산 흐름을 형성합니다.
- AXS 스테이킹 및 DAO 운영
AXS 보유자는 스테이킹을 통해 거버넌스 투표권과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DAO 기반의 커뮤니티 참여도 가능해 Web3형 게임 운영을 지향합니다.
AXS 투자 전략 포인트
- GameFi 모델의 상징성
엑시는 단순한 게임이 아닌, 게임과 금융을 결합한 GameFi 모델의 실증 사례입니다.
초기 유저 수익성, NFT 활용 구조, P2E 모델의 전개는 이후 등장한 수많은 Web3 게임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 유저 기반 NFT 경제 시스템
엑시의 NFT는 단순 수집품이 아니라, 게임 내 활용도가 높은 전략형 자산입니다.
이는 단기적 트레이딩이 아닌, 장기적 생태계 참여형 투자로 접근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자체 체인 운영의 안정성
론인 네트워크는 엑시 전용 체인으로 설계되어, 수수료 문제와 네트워크 혼잡을 해결하며 Web3 게임에 최적화된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DAO 기반 커뮤니티 운영 모델
AXS 보유자들은 게임 정책, 수수료 조정, 신규 기능 도입 등에 대해 제안 및 투표할 수 있으며, 이는 커뮤니티 중심의 지속 가능한 게임 경제 구조로 연결됩니다.
결론
엑시인피니티(AXS)는 Web3 게임 생태계의 개척자로, NFT를 실질 자산화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최초로 대중화한 프로젝트입니다.
게임, 디지털 자산, DAO 운영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생태계는 Web3가 지향하는 자율 참여형 플랫폼의 대표 사례로 손꼽힙니다.
Web3 게임과 NFT의 실사용 가능성을 보고 있다면, AXS는 여전히 기술적 안정성과 플랫폼 중심성을 갖춘 주요 GameFi 프로젝트입니다.